반응형
CPA는 우리경영아카데미의 임세진 세무사님 교재의 목차를
재경관리사는 삼일인포마인에서 출판한 교재의 목차를
전산세무2급은 도서출판한솔에서 출판한 박쌤교재의 목차를 활용하였습니다.
가장 범위가 넓은 CPA를 좌측에 배치했고 재경관리사와 전산세무 2급의 시험범위를 CPA에 맞춰서 배치하였습니다. 시험별로 범위도 다르고 단원을 나누는 기준도 상이하지만 너무 상세한 것까지 맞추지 않고 적당히 맞는 정도로만 정리하였습니다.
<원가회계>
CPA | 재경관리사 | 전산세무 2급 | ||
제1편 원가관리회계 전반에 대하여 |
||||
CH 1 원가관리회계의 개념 |
CH 1 원가회계의 기초 |
CH 1 원가회계 |
||
제1절 회계의 의의 및 분류 |
||||
제2절 원가관리회계 |
<1> 원가회계의 기본개념 <2> 원가회계의 흐름 |
|||
제3절 상기업과 제조기업의 비교 |
||||
CH 2 원가의 개념과 분류 |
CH 2 원가계산의 절차 CH 3 요소별 원가계산 |
|||
제1절 원가의 개념 |
||||
제2절 원가의 분류 |
||||
제2편 제품원가계산 |
||||
CH 3 제조기업의 원가의 흐름 |
||||
제1절 서론 |
||||
제2절 제조기업의 원가의 흐름 | CH 6 .원가의 흐름과 제조원가명세서 |
|||
CH 4 원가배분과 보조부문원가의 배분 |
CH 4 부문별 원가계산 |
|||
제1절 서론 |
||||
제2절 원가할당과 원가배분 |
<3> 원가배분 |
|||
제3절 부문별 원가계산 |
||||
제4절 보조부문이 존재할 경우의 제품원가계산 절차 |
||||
CH 5 제품별 원가계산 |
||||
CH 2 생산형태에 따른 원가계산방법 |
||||
CH 5 개별원가계산 |
<1> 개별원가계산 |
|||
제1절 서론 |
||||
제2절 개별원가계산 |
||||
제3절 실제개별원가 |
||||
제4절 정상(예정)개별원가계산 |
||||
제5절 여러 개의 제조부문이 존재하는 경우 |
||||
제6절 서비스업체의 개별원가계산 |
||||
CH 6 종합원가계산 |
||||
제1절 서론 |
<2> 종합원가계산 |
|||
제2절 개별원가계산과 종합원가계산 |
||||
제3절 완성품환산량 |
||||
제4절 종합원가계산의 원가계산절차 |
||||
제5절 연속되는 제조공정이 존재하는 경우 |
||||
CH 7 공손품회계 |
||||
제1절 서론 |
||||
제2절 정상공손과 비정상공손 |
||||
제3절 공손의 회계처리방법 |
||||
제4절 정상공손원가의 회계처리 |
||||
제5절 처분가치가 있는 공손품의 회계처리 |
||||
제6절 작업공정별 원가계산 |
||||
CH 8 연산품과 부산물의 원가계산 |
||||
제1절 서론 |
||||
제2절 연산품 원가계산 : 결합원가 배분 |
||||
제3절 산물의 회계처리 |
||||
제4절 결합제품 추가가공여부 결정 |
||||
CH 9 변동원가계산과 초변동원가계산 |
CH 3 원가측정에 따른 원가계산방법 CH4 원가구성에 따른 원가계산방법 |
|||
제1절 서론 |
||||
제2절 전부원가계산과 변동원가계산 |
||||
제3절 전부원가계산과 변동원가계산의 비교 |
<1> 전부원가계산과 변동, 초변동원가계산 |
|||
제4절 초변동원가계산 |
||||
제5절 정상원가계산과 표준원가계산에서의 비교 |
<1> 정상원가계산 <2> 표준원가계산의 기초 |
|||
제6절 각 방법들의 유용성과 한계 |
<3> 표준원가계산과 원가차이분석 |
|||
CH 10 활동기준원가계산 |
CH 5 새로운 원가계산방법 |
|||
제1절 전통적 원가계산의 문제점 |
||||
제2절 활동기준원가계산 |
<1> 활동기준원가계산 |
|||
[보론] 피넛-버터 원가계산 |
<관리회계>
CPA | 재경관리사 | 전산세무 2급 | |||
제3편 계획 및 의사결정 |
|||||
CH 11 원가추정 |
CH 6 계획과 통제 |
||||
제1절 원가함수의 추정 및 원가추정 |
<1> 원가추정 |
||||
제2절 활동기준원가계산에서의 원가추정 |
|||||
제3절 학습곡선 |
|||||
CH 12 원가-조업도-이익분석 |
<2> 원가 조업도 이익분석 |
||||
제1절 서론 |
|||||
제2절 CVP분석의 기본가정 및 기본개념 |
|||||
제3절 기본가정하의 CVP분석 |
|||||
제4절 기본가정이 완화된 경우의 CVP |
|||||
CH 13 관련원가분석 |
|||||
제1절 서론 |
|||||
제2절 의사결정과 관련된 기본개념 |
|||||
제3절 단기적 특수의사결정 |
|||||
CH 7 의사결정 |
|||||
CH 14 자본예산 |
<1> 단기의사결정 <2> 장기의사결정(자본예산) |
||||
제1절 서론 |
|||||
제2절 현금흐름의 추정 |
|||||
제3절 투자안 평가방법 |
|||||
제4절 설비대체 의사결정 |
|||||
제5절 자본예산의 기타문제 |
|||||
CH 15 불확실성하의 의사결정 |
|||||
제1절 불확실성하의 의사결정 |
|||||
제2절 완전정보의 기대가치 |
|||||
제3절 불완전정보(표본정보)의 기대가치 |
|||||
제4절 예측오차의 원가 |
|||||
제5절 차이조사결정 |
|||||
제4편 통제 및 성과평가 |
|||||
CH 16 종합예산 |
<3> 예산 |
||||
제1절 서론 |
|||||
제2절 종합예산 |
|||||
CH 17 표준원가계산 1 (원가차이분석) |
|||||
제1절 서론 |
|||||
제2절 표준원가계산 |
|||||
제3절 차이분석의 기본모형 |
|||||
제4절 복수의 생산요소를 투입하는 경우의 원가차이분석 |
|||||
제5절 활동기준원가계산에서의 변동예산과 원가차이분석 |
|||||
CH 18 표준원가계산 2 (표준종합원가계산) |
|||||
제1절 서론 |
|||||
제2절 여러 원가계산방법에서 재고자산의 평가 |
|||||
제3절 표준원가계산에서의 원가의 흐름 |
|||||
제4절 원가차이 조정 |
|||||
제5절 표준종합원가계산 |
|||||
CH 19 판매부문의 성과평가 |
|||||
제1절 서론 |
|||||
제2절 판매부문의 성과평가를 위한 차이분석 |
|||||
제3절 고객수익성분석 |
|||||
<4> 책임회계제도와 성과평가 |
|||||
CH 20 투자중심점의 성과평가 |
|||||
제1절 투자중심점의 성과평가 |
<5> 분권화와 성과평가 |
||||
제2절 투자수익률 |
|||||
제3절 잔여이익 |
|||||
제4절 경제적 부가가치 |
|||||
CH 21 대체가격결정 |
<3> 가격결정과 대체가격결정 |
||||
제1절 서론 |
|||||
제2절 각 사업부가 수용할 수 있는 대체가격의 범위 |
|||||
제3절 대체거래의 성립가능성과 대체거래가 회사전체의 이익에 미치는 영향 및 회사전체 관점에서 대체여부 결정 |
|||||
제4절 다국적기업의 대체가격 결정방법 |
|||||
제5편 전략적 차원에서의 원가정보의 활용 |
|||||
CH 22 전통적인 재고관리모형, 적시생산시스템, 역류원가계산 |
|||||
제1절 전통적인 재고관리모형 |
|||||
제2절 적시생산시스템 |
|||||
제3절 적시구매시스템 |
|||||
제4절 역류원가계산 |
|||||
CH 23 전략적 원가관리 |
CH 8 최신관리회계 |
||||
제1절 서론 |
|||||
제2절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한 요긴 |
|||||
제3절 가치사슬분석과 공급사슬관리 |
|||||
제4절 활동기준경영 |
|||||
제5절 수명주기원가계산 |
<1> 새로운 원가관리시스템 |
||||
제6절 품질원가관리 |
|||||
제7절 가격결정과 목표원가계산 |
|||||
제8절 카이젠원가계산 |
|||||
제9절 시간 |
|||||
제10절 제약이론 |
|||||
CH 24 전략적 성과평가 |
|||||
제1절 전략적 성과평가의 필요성 |
|||||
제2절 균형성과표 |
<2> 새로운 성과평가시스템 |
||||
제3절 생산성분석 및 영업이익의 전략적 분석 |
|||||
제4절 보상 |
반응형
'공부 > 재경관리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경관리사_세무회계] 2. 국세기본법 (1) | 2024.12.24 |
---|---|
[재경관리사_세무회계] 1. 조세총론, 국세기본법 (1) | 2024.09.08 |
[재경관리사_세무회계] 0. 범위비교 (CPA, 재경관리사, 전산세무2급) (0) | 2024.07.27 |
[재경관리사_재무회계] 0. 범위비교 (CPA, 재경관리사, 전산세무2급) (1) | 2024.07.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