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전산회계 2급

[전산회계 2급] 이론 정리 | 8. 결산정리

by 슬그 2024. 4. 16.
반응형


 

유튜브 "박쌤 전산회계"의 강의를 참고해서 정리했습니다. 더 자세한 설명과 문제는 강의와 교재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https://youtube.com/playlist?list=PLYixJcX54KQv4ic4Li97vCqp8zKYHQVC_&si=5F_hBaTGA_FcsGfj

 

박쌤전산회계2급(이론+실기)

0:28 / 29:37 회계를 처음 공부하시는 회원님들을 위해 기초부터 설명했습니다. 모두 다 좋은 결과가 있기를 바랍니다.^^

www.youtube.com

[컨트롤+F] 누르시면 필요한 키워드 검색 가능합니다.


<결산>

 

<결산절차>

1. 결산 예비 절차

  • 수정 전 시산표 작성
  • 재고조사표 작성과 총계정원장 수정기입
  • 수정후 시산표 작성
  • 정산표 작성

 

2. 결산 본 절차

  • 총계정원장 마감
  • 분개장 및 보조부 마감

 

3. 결산보고서 작성

  • 재무상태표 작성
  • 손익계산서 작성
  • 그 밖의 결산보고서 작성 (현금흐름표, 자본변동표, 주석 작성)

 

<결산 본 절차 마감 순서>

1. 수익/비용계정의 잔액을 손익계정(집합계정)에 대체

2. 손익계정에서 순손익을 산출, 자본금계정에 대체

3. 총계정원장 각 계정의 마감

4. 분개장과 기타장부(보조부)의 마감

5. 이월시산표의 작성

 

<시산표의 자기검증능력의 한계성>

시산표 발견
가능한
오류
1. 분개의 차변/대변 모두를 같은 쪽에 전기
2. 분개의 차변/대변 중 어느 한쪽만을 전기
3. 분개의 차변/대변 금액을 다르게 기록하는 경우
발견
불가능한
오류
1. 차변/대변의 계정 과목을 반대로 전기한 경우
2. 두 개의 잘못이 우연히 서로 상계되는 오류
3. 한 거래를 이중으로 기장
4. 거래 전체의 분개 누락 및 전기 누락
5. 분개나 전기 때 차변/대변 금액이 동일한 금액으로 오류가 발생한 경우
6. 총계정원장 전기 때 다른 계정과목의 같은 변에 기록 

 

<자산, 부채 및 자본에 관한 결산정리>

1. 결산정리의 뜻

 결산 시 재무상태와 경영성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각종 정리사항을 조사해서 장부금액을 실제액과 일치하도록 수정해야 하는데 이러한 절차를 결산정리라고 한다.

 

* 자산, 부채 및 자본에 관한 결산정리

1) 상품계정의 정리

2) 매출채권에 대한 대손 예상액 계산

3) 단기매매증권의 평가

4) 비유동자산의 상각

5) 임시계정의 정리

 

2. 매출채권에 대한 평가(대손의 예상)

결산 시 매출채권에 대해 대손충당금을 설정할 경우
(대손충당금 잔액 < 대손충당금 설정액)
(차변) 대손상각비     XXX          (대변) 대손충당금     XXX
(대손충당금 잔액 > 대손충당금 설정액)
(차변) 대손충당금     XXX         (차변) 대손충당금환입     XXX

* 매출채권에 대한 대손상각비는 판매비와 관리비로, 대손충당금환입은 판매비와 관리비에 부(-)의 금액으로 처리한다.

 

거래처의 파산으로 외상매출금이 회수 불가능할 경우
(대손충당금 설정액 < 대손발생액)
(차변) 대손충당금     XXX          (대변) 외상매출금     XXX
대손상각비     XXX                                        
(대손충당금 설정액 > 대손발생액)
(차변) 대손충당금     XXX         (대변) 외상매출금     XXX

 

당기 대손 처리하였던 매출채권을 회수한 경우
(대손충당금 설정액 < 대손발생액)
(차변) 현금     XXX          (대변) 대손상각비     XXX
                                                   대손충당금     XXX
(대손충당금 설정액 < 대손발생액)
(차변) 현금     XXX         (대변) 대손충당금     XXX

 

3. 비유동자산의 감가상각비 계산

 토지를 제외한 건물, 차량운반구, 비품 등의 유형자산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 가치가 감소한다. 그 가치 감소분을 감가라 하고 결산 시 기중에 발생한 감가상각액을 계산하여 감가상각비라는 비용으로 처리해야 한다.

 

간접법으로 건물을 감가상각 할 경우
(차변) 감가상각비     XXX          (대변) 건물감가상각누계액     XXX

 

4. 무형자산의 상각

 무형자산의 상각은 유형자산의 감가상각비와 별하기 위하여 무형자산에 대해서는 상각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무형자산의 상각은 직접법으로만 상각해야 하며, 상각기간은 독점적 권리를 부여하고 있는 관계법령이나 계약에 정해진 특별한 경우는 제외하고는 최대 20년을 초과할 수 없다.

 

산업재산권을 상각하는 경우 (직접법)
(차변) 무형자산상각비     XXX          (대변) 산업재산권     XXX

 

<수익, 비용에 관한 결산 정리>

 기업의 수익과 비용 중에는 전기와 차기에 걸쳐 발생 또는 지연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발생주의 원칙에 입각하여 정확한 손익계산을 해야 한다.

 

<수익의 이연>

 

12월 31일 선수임대료를 정리하는 경우
(차변) 임대료     210,000          (대변) 선수수익     210,000

 

<비용의 이연>

12월 31일 선급보험료를 정리하는 경우
(차변) 선급비용     200,000          (대변) 보험료     200,000

 

<수익의 예상>

12월 31일 이자미수액을 정리하는 경우
(차변) 미수수익     80,000          (대변) 이자수익     80,000

 

<비용의 예상>

12월 31일 임차료 미지급분을 계상하는 경우
(차변) 임차료     120,000          (대변) 미지급비용     120,000

 

<임시계정의 정리>

1. 소모품의 회계처리

1) 자산처리법

 소모품을 구입한 때에는 자산 계정인 소모품 계정에 기입하였다가, 기말에 기중 사용액을 소모품비 계정에 대체 기입하는 방법이다.

소모품을 구입한 경우
(차변) 소모품      XXX          (대변) 현금     XXX
결산 시 사용분을 비용으로 처리한 경우
(차변) 소모품비     XXX          (대변) 소모품     XXX

 

2) 비용처리법

 소모품을 구입한 때에 비용 계정인 소모품비 계정에 기입하였다가 기말에 사용하지 않은 소모품이 있을 경우에는 미사용액을 소모품비 계정에서 차감하여 소모품 계정으로 대체한다.

소모품을 구입한 경우
(차변) 소모품비      XXX          (대변) 현금     XXX
결산 시 미사용분을 자산으로 처리한 경우
(차변) 소모품     XXX          (대변) 소모품비     XXX

 

<매출총이익 계산>

자동결산 정리사항
12월 31일 결산자료 입력 메뉴에 결산반영금액 입력
* 매출원가코드 : 455-제품매출원가     /     * 원가경비코드 : 1~500번대 제조

1) 재고자산 기말재고액 입력 : 원재료, 재공품, 제품, 상품
2) 퇴직급여(전입액), 퇴직급여충당금 입력
3. 감가상각비 입력 : 건물, 기계장치, 차량운반구, 비품 등
4) 매출채권 대손상각비 및 기타의 대손상각비 입력
5) 법인세비용의 입력 : 선납세금, 법인세 추가계상액

-> 입력 후 [전표추가] 또는 [F3]키를 클릭 후 "결산분개를 일반전표에 추가하시겠습니까"라는 질문에 "예(Y)"를 선택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