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전산회계 2급

[전산회계 2급] 이론 정리 | 7. 수익과 비용

by 슬그 2024. 4. 15.
반응형


 

유튜브 "박쌤 전산회계"의 강의를 참고해서 정리했습니다. 더 자세한 설명과 문제는 강의와 교재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https://youtube.com/playlist?list=PLYixJcX54KQv4ic4Li97vCqp8zKYHQVC_&si=5F_hBaTGA_FcsGfj

 

박쌤전산회계2급(이론+실기)

0:28 / 29:37 회계를 처음 공부하시는 회원님들을 위해 기초부터 설명했습니다. 모두 다 좋은 결과가 있기를 바랍니다.^^

www.youtube.com

[컨트롤+F] 누르시면 필요한 키워드 검색 가능합니다.


<수익과 비용>

분류 내용 종류
수익 영업수익 기업 본래의 주된 영업활동에서 생기는 수익 상품 및 제품의 매출액
영업외수익 기업의 주된 영업활동이 아닌 활동으로부터 발생한 수익 이자수익, 단기매매증권처분이익, 단기매매증권평가이익, 임대료, 수수료수익, 배당금수익, 유형자산처분이익, 채무면제이익, 자산수증이익, 외환차익, 외화환산이익, 잡이익 등
비용 영업비용 기업 본래의 정상적인 경영활동에서 생기는 비용 [매출원가]
[판매비와 관리비]
급여, 복리후생비, 감가상각비, 대손상각비, 임차료, 세금과공과, 접대비, 광고선전비, 수도광열비, 소모품비, 수선비, 보험료, 무형자산상각비, 도서인쇄비, 잡비 등 
영업외비용 기업의 주된 영업활동이 아닌 활동으로부터 발생한 비용 이자비용, 기부금, 재고자산감모손실, 재고자산평가손실, 단기매매증권처분손실, 단기매매증권평가손실, 유형자산처분손실, 외환차손, 외화환산손실, 잡손실 등

 

<매출액과 매출원가>

  • 순매출액 = 총매출액 - (매출할인액 + 매출에누리액 + 매출환입액)
  • 매출원가 = 기초상품재고액 + 당기순매입액(매입제비용 포함) - 기말상품재고액
  • 매출총이익 = 순매출액 - 매출원가

 

<판매비와 관리비>

1. 급여

 기업의 영업활동에 종사하는 모든 임직원에게 지급하는 급료, 제수당 등을 급여라 한다.

소득세 등을 차감하고 급여를 지급한 경우
                                                  현금                       XXX
(차변) 급여     XXX          (대변) 소득세예수금         XXX
                                                    건강보험료예수금  XXX

 

2. 복리후생비

 임직원을 위한 식대, 경조사비, 사내 동호회 및 스포츠 시설 지원 등이 해당되며, 또한 건강보험료, 고용보험료, 국민연금 등은 회사와 임직원이 함께 부담하는데 이때 회사측이 부담하는 부분은 복리후생비로 처리한다.

임직원 결혼 축의금을 지급한 경우
(차변) 복리후생비     XXX          (대변) 현금      XXX

 

3. 감가상각비

 기업이 소유하고 있는건물, 차량운반구, 비품 등의 유형자산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 가치가 감소한다. 그 가치 감소분을 감가상각비라고 하고, 결산 시 기중 발생한 감가액을 계산하여 감가상각비 계정 차변에 기입하고 동시에 감가상각누계액 계정 대변에 기입한다. 

비품에 대한 감가상각비를 처리한 경우
(차변) 감가상각비     XXX          (대변) (비품)감가상각누계액      XXX

 

4. 대손상각비

 기업의 매출채권(외상매출금, 받을어음) 등의 금액이 거래처의 파산 등에 의하여 채권을 회수할 수 없는 경우 대손상각비 계정 차변에 기입한다. 

결산 시 매출채권에 대해 대손충당금을 설정할 경우
(차변) 대손상각비     XXX          (대변) 대손충당금      XXX
거래처가 파산하여 외상매출금을 회수할 수 없는 경우
(차변) 대손충당금     XXX          (대변) 외상매출금      XXX

 

5. 임차료

 건물, 토지 또는 시설물을 임차하고 집세, 지대 또는 시설물 사용료 등을 지급하였을 때에는 임차료 계정의 차변에 기입한다.

건물을 임차하고 임차료를 지불한 경우
(차변) 임차료     XXX          (대변) 현금      XXX

 

6. 세금과공과

 재산세, 자동차세 등과 같이 기업이 소유하는 재산에 부과된 세금과 상공회의소 회비, 조합비 등의 공과금 등을 지급할 때에는 세금과공과 계정 차변에 기입한다.

국세청에 세금을 납부한 경우
(차변) 세금과공과     XXX          (대변) 보통예금      XXX

 

7. 기업업무추진비 (구 접대비)

 영업활동과 관련하여 거래처의 경조사비, 회식비 등의 지출은 접대비 계정 차변에 기입한다. 

거래처와의 식사비 등을 지출한 경우
(차변) 접대비     XXX          (대변) 현금      XXX

 

8. 광고선전비

 기업 홍보 및 판매촉진을 위하여 TV, 인터넷, 신문, 잡지 등으로 지불한 비용은 광고선전비 계정 차변에 기입한다. 

잡지사와 광고계약을 맺고 비용을 지불한 경우
(차변) 광고선전비     XXX          (대변) 보통예금      XXX

 

9. 보험료

 건물, 차량운반구, 상품 등의 자산에 대하여 화재보험 및 운송보험 등을 가입하고 지출한 비용이며 보험료 계정 차변에 기입한다.

보험사에 화재보험비를 지불한 경우
(차변) 보험료     XXX          (대변) 보통예금      XXX

 

10. 수도광열비

영업 목적으로 사용한 수도료, 가스료, 전기료, 난방비 등의 비용은 수도광열비 계정 차변에 기입한다. 

약속된 날짜에 수도세를 납부한 경우
(차변) 수도광열비     XXX          (대변) 보통예금      XXX

 

11. 도서인쇄비

 업무와 관련된 도서구입 및 각종 인쇄 비용을 처리하는 계정으로 신문/잡지구독료, 도서구입비, 명함 및 각종 서식 인쇄비 등이 해당된다. 

업무용 명함 및 서식 인쇄비를 지출한 경우
(차변) 도서인쇄비     XXX          (대변) 현금      XXX

 

12. 교육훈련비

 업무상 임직원의 직무능력 향상을 위해 교육 및 훈련을 실시한 경우 그 관련된 비용은 판매비와관리비로 처리한다. 

외부강사를 초청하여 교육을 진행했을 때
(차변) 교육훈련비(판)     XXX          (대변) 현금      XXX

 

13. 수수료비용

 수수료비용은 업무와 관련하여 제공받은 용역의 대가를 지불할 때 사용하는 계정과목으로, 판매비와 관리비로 회계처리한다.

용역의 대가를 지불했을 때
(차변) 수수료비용(판)     XXX          (대변) 보통예금      XXX

 

14. 사무용품비(소품비)

 사무용품비는 사무용 소모품 구입에 관한 비용으로서 복사용지, 문, 탕비실용품 등의 구입비를 회계처리한다. 

사무용품을 신용카드로 구입했을 때
(차변) 사무용품비(판) (혹은 소모품비)     XXX          (대변) 미지급금      XXX

 

15. 통신비

 통신비는 업무용 핸드폰 사용요금, 서류 및 광고홍보물 발송비용 등의 비용으로서 판매비와 관리비로 회계처리한다.

업무용 핸드폰 사용요금을 납부할 때
(차변) 통신비(판)     XXX          (대변) 미지급금      XXX

 

16. 운반비

 운반비는 상품이나 제품 등을 택배, 퀵서비스 등을 이용하여 소비자나 기타거래처 등에 발송하는데 지출된 비용으로서 판매비와 관리비로 회계처리한다.

상품을 택배로 거래처에 발송했을 때
(차변) 운반비(판)     XXX          (대변) 현금      XXX

 

17. 차량유지비

 차량유지비는 유류대, 주차비, 수리비 등 업무용 차량에 대한 유지비로 지출된 비용으로서 판매비와 관리비로 회계처리한다.

업무용 차량에 대해 정기주차료를 지불했을 때
(차변) 차량유지비(판)     XXX          (대변) 현금      XXX

 

18. 여비교통비

 여비교통비는 영업사원의 거래처 방문 교통비, 시내 출장용 교통카드 충전 등에 지출된 비용으로서 판매비와 간리비로 회계처리한다. 

영업부 직원의 시내 출장용 교통카드를 충전하고 대금을 지불했을 때
(차변) 여비교통비(판)     XXX          (대변) 현금      XXX

 

<영업외수익>

1. 이자수익

 기업이 은행예금 또는 대여금 등의 이자를 받았을 대 수익 계정인 이자수익 계정의 대변에 기입한다.

은행예금 이자를 받은 경우
(차변) 현금      XXX          (대변) 이자수익      XXX

 

2. 배당금수익

 다른 회사의 주식 또는 출자금에 투자한 투자액에 대하여 배당을 받았을 때 배당금수익 계정 대변에 기입한다.

배당금을 받은 경우
(차변) 현금      XXX          (대변) 배당금수익      XXX

 

3. 단기매매증권처분이익

 소유하고 있는 단기매매증권에 대하여 장부금액을 초과하는 금액으로 처분하였을 때에 그 초과액에 대한 수익을 단기매매증권처분이익 계정 대변에 기입한다.

단기매매증권을 장부금액 이상으로 처분한 경우
(차변) 현금      XXX          (대변) 단기매매증권                   XXX
                                                   단기매매증권처분이익     XXX

 

4. 단기매매증권평가이익

 결산 시 단기매매증권의 공정가치가 장부금액보다 상승한 경우 단기매매증권평가이익 계정 대변에 기입한다.

결산 시 단기매매증권을 장부금액 이상으로 평가한 경우
(차변) 현금      XXX          (대변) 단기매매증권평가이익      XXX

 

5. 임대료

 소유하고 있는 건물 또는 토지 등을 임대하고 집세 또는 지대 등을 받았을 때, 그 수익은 임대료 계정의 대변에 기입한다.

건물 임대료를 받은 경우
(차변) 현금      XXX          (대변) 임대료      XXX

 

6. 유형자산처분이익

 기업이 영업용으로 사용하고 있던 건물, 토지, 비품 등을 장부금액 이상으로 처분할 때, 장부금액과 처분금액과의 차액은 유형자산처분이익 계정 대변에 기입한다. 

영업용 건물을 장부금액 이상으로처분하는 경우 
(차변) 현금                      XXX                                     (대변) 건물                       XXX
                감가상각누계액     XXX                                              유형자산처분이익     XXX

 

7. 채무면제이익

 회사의 채권자로부터 외상매입금, 차입금 등을 면제받아 발생한 이익은 채무면제이익 계 대변에 기입한다.

거래처로부터 외상매입금을 면제받은 경우
(차변) 외상매입금      XXX          (대변) 채무면제이익      XXX

 

8. 자산수증이익

 주주, 채권자 또는 임원으로부터 무상으로 자산을 기증받은 경우 해당 자산의 금액은 자산수증이익 계정 대변에 기입한다. 단, 주주, 임원으로부터 받은 자산은 기타 자본 요소로 자번에 가산하고, 제3자(채권자 등)로부터 기증받은 경우에는 당기 영업외수익으로 처리한다. 

채권자로부터 건물을 기증 받은 경우
(차변) 건물      XXX          (대변) 자산수증이익      XXX

 

<영업외비용>

1. 이자비용

 차입금 또는 당좌차월 등의 이자나 사채에 대한 이자 등 금융 비용을 지급하였을 때 이자비용 계정의 차변에 기입한다.

차입금에 대한 이자를 지급할 경우
(차변) 이자비용     XXX          (대변) 현금      XXX

 

2. 기부금

 업무와 직접 관련 없이 국가, 공공기관, 학교, 종교단체, 기타 비영리단체에 불우이웃돕기(성금) 등 무상의 금전 또는 물품의 금액은 기부금 계정 차변에 기입한다.

불우이웃돕기 성금을 기부한 경우
(차변) 기부금     XXX          (대변) 현금      XXX

 

3. 유형자산처분손실

 회사가 영업용으로 소유하고 있던 토지, 건물, 차량운반구 등의 유형자산을 장부금액 이하로 처분 시 그 차액은 유형자산처분손실 계정 차변에 기입한다.

영업용 건물을 장부금액 이하로 처분하는 경우
현금                        XXX                                  
(차변) 감가상각누계액       XXX          (대변) 건물         XXX
유형자산처분손실    XXX                                 

 

4. 단기매매증권처분손실

 소유하고 있는 단기매매증권에 대하여 장부금액 이하로 처분하였을 때에 그 차액에 대한 손실을 단기매매증권처분손실 계정 차변에 기입한다.

단기매매증권을 장부금액 이하로 처분한 경우
(차변) 현금                                XXX          (대변) 건물         XXX
단기매매증권처분손실    XXX                                 

 

5. 외환차손

 외국과의 무역 거래나 자금의 대여, 차입거래 등에 의하여 발생하는 채권, 채무로 외화로 표시되므로 장부에 기장하기 위해서는 환욜에 의해 원화로 표시해야 한다. 외화자산의 회수 또는 외화부채의 상황 시 장부금액과의 차이가 발생하는데 이때 발생하는 손실을 외환차손이라 한다. 

외화 외상매입금을 상환하고 외환차손이 발생하는 경우
(차변) 외상매입금     XXX          (대변) 현금         XXX
외환차손         XXX                                 

 

6. 외화환산손실

 결산일 현재 장부상 남아있는 외화 자산 또는 외화부채에 대해 결산일 현재 환율과 비교하여 손실이 발생할 때 이는 외화환산손실로 처리한다.

불우이웃돕기 성금을 기부한 경우
(차변) 외화환산손실     XXX          (대변) 현금      XXX

 

7. 잡손실

 발생한 비용의 금액이 적고, 또 독립된 계정과목을 부여하기가 적절하지 못한 경우 잡손실 계정 차변에 기입한다. 

 

<수익의 인식시점>

1. 재화의 판매

 재화의 판매로 인한 수익은 다음 조건이 모두 충족될 때 인식한다.

  • 재화의 소유에 따른 유의적인 위험과 보상이 구매자에게 이전된다. (ex. 자동차판매)
  • 판매자는 판매한 재화에 대하여 소유권이 있을 때 통상적으로 행사하는 정도의 관리나 효과적인 통제를 할 수 없다. (ex. 렌트카-임대수익)
  • 수익금액을 신뢰성 있게 측정할 수 있다.
  • 경제적 효익의 유입 가능성이 매우 높다.
  • 거래와 관련하여 발생했거나 발생할 원가를 신뢰성 있게 측정할 수 있다.

 

2. 용역의 제공

 용역의 제공으로 인한 수익은 용역제공거리의 성과를 신뢰성 있게 추정할 수 있을 때 진행기준에 따라 인식한다. 다음 조건이 모두 충족되는 경우에는 용역제공거래의 성과를 신뢰성 있게 추정할 수 있다고 본다.

  • 거래 전체의 수익금액을 신뢰성 있게 측정할 수 있다. 
  • 경제적 효익의 유입 가능성이 매우 높다.
  • 진행률을 신뢰성 있게 측정할 수 있다.

이미 발생한 원가 및 거래의 완료를 위하여 투입하여야 할 원가를 신뢰성 있게 측정할 수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