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전산회계 1급

[전산회계 1급] 이론정리 | 17. 원가회계_요소별 원가계산

by 슬그 2024. 5. 6.
반응형

 


 

유튜브 "박쌤전산회계"의 강의를 참고해서 정리했습니다. 더 자세한 설명과 문제는 강의와 교재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https://youtube.com/playlist?list=PLYixJcX54KQvbYTZsHcEN251vjJa_4TWf&si=WObNvIJOYMdAzyZn

 

박쌤전산회계1급(이론+실기)

고화질로 새로이 촬영해서 올립니다. 박쌤카페회원님들 모두의 합격을 기원하면서~~^^

www.youtube.com

[컨트롤+F] 누르시면 필요한 키워드 검색 가능합니다.

 


 

<원가계산의 절차>

유튜브 박쌤전산회계

 

<원재료와 재료비>

1) 원재료(자산계정)

 제조과정에서 사용되는 원재료(주재료), 부재료, 부품, 소모공구기구비품 등의 원가를 기록하는 계정이다. 투입되는 원재료는 재고자산에서 원가로 성질이 변하므로 원재료비 계정의 차변에 기입하게 된다. 

 

2) 재료비(원가계정)

 원재료가 제품제조를 위해 소비되면 원가요소인 원재료비로 변한다.

 

원재료를 매입한 경우
(차변) 원재료     XXX         (대변) 현금     XXX

 

원재료를 출고한 경우
(차변) 재료비     XXX         (대변) 원재료     XXX

 

원재료 소비액 = 월초 재료재고액 + 당월 재료매입액 - 월말 재료재고액

 

원재료를 출고한 경우
(차변) 재료비     XXX         (대변) 원재료     XXX

 

재료비 계정 차변에 기입된 소비액 중 직접재료비재공품 계정 차변에 대체
(차변) 재공품     XXX         (대변) 재료비     XXX

 

간접재료비는 제조간접비 계정 차변에 대체
(차변) 제조간접비     XXX           (대변) 재료비     XXX

 

 

 

<노무비>

1) 분류

* 지급형태에 따른 분류

  • 임금 : 제조 현장에 종사하는 생산직 근로자에게 지급하는 보수
  • 급료(급여) : 주로 사무실에 근무하는 공장장, 제조 부문의 과장 등 감독자에게 지급하는 보수
  • 잡급 : 정규직원이 아닌 임시로 고용된, 작업 현장의 노무자에게 지급하는 보수
  • 종업원 상여 수당 : 제조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종업원에게 정규적으로 지급되는 상여금과 각종 수당

 

* 제품과의 관련성에 따른 분류 : 노무비는 특정 제품의 부과 여부에 따라 직접노무비와 간접노무비로 분류된다.

 

2) 노무비의 회계처리

[암기] 노무비 소비액(발생액) = 당월 지급액 - 전월 미지급액 + 당월 미지급액 - 당월선급액 + 전월선급액

 

 

+) 노무비계정을 설정하지 않는 경우 (but 이론상으로만 존재하는 형태)

 

<제조경비>

1) 제조경비의 뜻과 분류

 제조경비는 제품의 제조를 위하여 소비된 금액 중 재료비와 노무비를 제외한 기타의 모든 원가요소를 말한다. 따라서 이에 속할 수 있는 요소들로는 공장 건물이나 기계장치와 관련된 감가상각비, 보험료, 임차료, 공장소모품비, 수선비, 운반비 등을 들 수 있다.

 

2) 제조경비의 분류

 제조경비는 주로 발생 형태에 따라서 전력비, 가스수도비, 감가상각비, 소무품비, 세금과공과, 임차료 등으로 나타나고 제조원가에 산입하는 방법에 따라 월할제조경비, 측정제조경비, 지급제조경비, 발생제조경비 등으로 분류한다. 

 

월할 제조경비

 일정한 기간단위로 그 기간 경비의 발생 총액을 각 원가 계산 기간에 균등하게 분할하여 부담시키는 경비. 예를 들어 감가상각비, 보험료, 수선비, 세금과공과, 특허권 사용료, 임차료 등이 이에 속한다. 

 

측정 제조경비

 원가계산 기말에 재화나 용역의 실제 소비량을 측정 계기에 의하여 측정하여 그 소비량을 기준으로 발생액이나 소비액을 계산할 수 있는 경비를 말한다. 예를 들어 전력료, 수도료, 가스료 등이 이에 속한다. 

 

지급 제조경비

 원가계산 기간 중에 실제로 지급하거나 지급할 경비를 말한다. 예를 들어 운임, 보험료, 여비교통비, 통신비, 복리후생비 잡비 등이 이에 속한다.

 

발생 제조경비

 현금 지출이 없고, 계량기에 의하여 측정할 수도 없는 경비로서 그 발생액을 실제로 조사에 의해 측정한 후 제조원가에 산입할 수 있는 경비. 예를 들어 재고자산감모손실, 공손비, 반품차손비 등이 이에 속한다. 

 

3) 제조경비 회계처리

* 당월경비소비액을 계산한다.

당월소비액 = 당월지급액 + (전월선급액 + 당월미지급액) - (당월선급액 + 전월미지급액)

 

* 제조경비 계정을 설정하여 처리하는 경우

경비항목을 현금으로 지급한 경우
(차변) 경비항목     XXX          (대변) 현금     XXX

 

경비항목이 발생한 경우
(차변) 제조경비      XXX          (대변) 경비항목      XXX
월차손익      XXX                                      

 

제조과정에 소비한 경우
(차변) 재공품             XXX          (대변) 제조경비     XXX
제조간접비      XXX                                     

 

 

* 제조경비 계정을 설정하지 않고 처리하는 경우 (but 이론상으로만 존재하는 형태)

경비항목 발생시 (소비시)
(차변) 재공품         XXX           (대변) 경비항목     XXX
제조경비     XXX                                     
월차손익     XXX                                     

 

 

반응형